거소 투표 여러 가지 이유로 투표일에 투표소에 가지 못하는 경우, 선거일 전에 미리 투표하는 부재자 투표 방식의 하나. 예를 들어, 병원이나 요양소에 장기 입원 중이거나 신체에 중대한 장애가 있어 거동할 수 없는 경우에 행정 기관에 신청하면 투표 용지를 거주지에서 우편으로 받아 기표한 뒤 우편으로 발송할 수 있다.
쉬운 글
거소 투표 몸이 아프거나 다른 이유로 투표일에 투표소에 직접 갈 수 없을 때, 미리 투표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. 예를 들어, 병원이나 요양원에서 오랫동안 치료를 받는 사람이나 몸이 많이 아파서 움직이기 어려운 사람은 행정 기관에 미리 신청하면 집에서 투표용지를 우편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. 받은 투표용지에 투표하고 다시 우편으로 보내면 됩니다.
*행정 기관: 시청이나 구청처럼 나라 일을 하는 기관.
온글은 어려운 글을 쉽게 바꿔 주는 서비스예요
2가지 ‘쉬운 정보’ 서비스를 제공해요쉬운 정보는 글, 이미지, 디자인 등 모든 요소를 고려해 누구나 이해하기 쉽게 만든 정보를 말합니다. 특히, 발달장애인을 비롯해 말과 글을 이해하기 어려운 사람들에게 편안한 정보입니다. 해외에서는 Easy-Read, Accessible Information이라 부릅니다
이 함께 온글을 만들었습니다. 인공지능 기술과 쉬운 정보 제작 경험을 합쳐 빠르고, 자연스럽고, 이해하기 쉬운 글을 제공합니다.
다양한 쉬운 글 데이터가 담겨 있어요온글에는 복지, 문화, 역사, 과학 등 여러 분야의 자료와 안내문, 전시 해설, 서식 같은 다양한 형태의 쉬운 글 데이터가 담겨 있습니다. 이 데이터를 활용해 정책 안내, 교육 자료, 앱과 웹사이트, 키오스크 등 어떤 정보도 쉽게 바꿀 수 있습니다.
실제 사용자의 검증을 거쳐서 더욱 쉬워졌어요기관·기업 종사자, 특수교사, 연구자, 발달장애인, 청각장애인, 고령자, 청소년 등 다양한 사용자가 온글이 만든 쉬운 글을 직접 읽고 평가했습니다. 덕분에 온글의 쉬운 글은 더욱 읽기 편하고 쉬워졌습니다.
누구나 필요한 정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세상을 함께 만들어 가요정보의 벽이 낮아질수록 더 많은 사람이 일상을 편하고 즐겁게 누릴 수 있습니다. 쉬운 글이 일상이 되는 세상, 온글이 함께하겠습니다.
이런 고민을 하고 있나요?
공공기관 홍보 담당자 최OO 님
“정책 안내문을 만들 때마다 ‘이게 시민들에게 정말 이해될까?’하는 고민이 들어요. 전문 용어를 줄이려 해도 쉽지 않고, 쉽게 쓰려니 시간이 오래 걸려요.”
발달장애인 윤OO 님
“공공기관 웹사이트에 있는 정보가 너무 어려워서 도와주는 사람 없이는 내용을 이해하기 힘들어요.”
기업 사회공헌 담당자 정OO 님
“장애인, 고령자, 어린이 고객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싶지만, 어떻게 써야 이해하기 쉬운 글이 되는지 잘 모르겠어요.”